동문홍보

동문홍보 >
동문회보

사회변화와 평생교육(2) -유익준(5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기춘 작성일10-01-10 19:31 조회2,618회 댓글0건

본문

 

3. 현대사회의 변화와 평생교육<?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학교교육 중심 체제를 탈피하기 위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고 했지만, 현대사회에서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변화는 학교뿐만 아니라 교육체제 전반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전통사회는 오늘날의 현대사회와 비교하면 단순사회라고 할 수 있다. 사회를 규하거나 운영하는 원리가 단순했으며, 사회변화의 속도가 매우 완만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급속하게 진행된 사회변화는 이러한 상황을 역전시켰다.

 다시 말해,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 ․ 도시화  ․ 정보화  ․ 국제화 등 사회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학교교육을 통해 배운 지식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에 그치게 되었으며,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사회 환경이 교육의 변화를 오히려 요구하고 있다.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정보통신혁명은 전 세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고도정보화 사회 또는 지식기반 사회로 일컬어지는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중심 체제로는 더 이상 사회변화를 선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회변화 자체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길러 내기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급변하는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해 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평생에 걸쳐 끊임없이 자기계발과 자기교육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탄력적이고 개방적인 교육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4. 현대사회와 평생교육의 필요성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이라는 용어는 196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UNESCO)성인교육추진위원회에서 폴 렝그랑(Paul Lengrand)이 처음으로 제시한 데서 비롯되었다.

현대사회에 평생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  문화적 배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1) 지식과 정보, 기술의 폭발적인 증가

  2) 사회의 변화와 생활양식의 급격한 변화

  3) 인간의 평균수명과 여가시간의 증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증대

  4) 학교교육의 한계성과 역기능에 대한 비판

 

 5. 미래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21세기는 평생학습을 필요로 하는 사회이다. 미래사회는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한 사회이고, 위험의 요소가 편재되어 있는 불안전한 사회이며, 사회의 각 부문간 또는 부문 내의 분화가 심한 동시에 다양한 기회가 열려 있는 복잡한 사회이다. 따라서 과거의 전통적인 지식, 가치, 태도만을 가지고 이러한 사회에 대처하기는 어렵다. 그리하여 세계주요국의 정부에서는 기존의 사회를 닫힌 교육사회로 규정하고 21세기를 대비하여 교육적 패러다임을 열린 교육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열린 교육사회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사회로 교육 시기, 교육장소, 교육 대상, 교육담당자, 교육내용, 교육방법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전제로 하는 사회 자체가 학습의 터전이 되는 평생교육사회를 의미한다. 평생교육은 삶의 특정 시기에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라 삶 전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또한 평생교육은 특정 분야에 국한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라 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UNESCO, 1997)

 세계 주요국이 평생교육사회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첫째, 교육 외적 요인으로 교류단위의 지구촌화,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변화, 능력 중심 사회로의 전환, 성인 인구와 고령인구의 증가, 사회  ․ 경제적 생활양식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육 내적 요인으로 교육장의 다양화, 교육수요의 증가, 교육 소재의 다양화,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수집거부 | 로그인

단체명: 송곡고등학교 총동문회 | 회장: 김학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주국 | E-mail: my1004pr@naver.com

주소: 서울 중랑구 양원역로 50 (송곡고등학교內)

Copyright(c) 송곡고등학교 총동문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