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홍보

동문홍보 >
동문회보

사회변화와 평생교육(1) - 유익준(5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기춘 작성일10-01-10 19:27 조회2,406회 댓글0건

본문

 

평생교육[平生敎育, life-long education]<?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한 개인의 생애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교육활동, 또는 이를 요체로 하는 교육관.

 1960년대 중반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자문기관인 성인교육추진국제위원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평생교육의 이념은 개개 학습자를 위한 교육이 학교교육에 그쳐서는 안 되고, 이후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은 서로 협력·보완이 될 수 있도록 재조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이념은 전 세계 교육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한국에서도 1970년대에 방송통신고등학교·한국방송통신대학 등이 설립되었고, 이어 제5공화국 헌법에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해야 한다." (315)고 명시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진흥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1. 인간과 사회와 교육

“인간이란 어떤 존재이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모든 학문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그것은 특히 종교와 철학의 오랜 관심사였고, 지금도 주요한 관심사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인간은이상적 존재 라거나 영적인 존재 또는 사회적 존재 라든지 정치적 존재라는 답변들이 그것이다.

 이 외에도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 유희의 동물 웃을 줄 아는 동물 언어적 동물 비판적 사고의 동물 등등의 답변은 인간 특성에 대한 대표적인 설명으로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답변들이다.

 일찍이 칸트(I. Kant)“교육이 사람을 사람답게 만든다.” 라고 말한 바 있듯이 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이다.

다시 말해,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그를 바람직한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형성시키기 위한 사회적 과정인 것이다.

 

2. 사회변화와 교육

 교육이 인간의 삶과 사회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지는 활동이기 때문에 각 시대나 사회의 모습에 따라 교육의 모습이 결정되며 또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도 변화하여 왔다.

 예컨대, 원시시대나 원시사회에서 교육은 가정과 생활을 중심으로 무형식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것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사적 영역의 활동에 속 하였다.

 기원전 5~6세기경 학교가 발생한 이후 동서양의 학교교육은 기존 지배계층의 지배구조와 사회체제를 유지보전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해 왔으며, 지배계층의 자녀들을 위한  귀족교육의 형태로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서양사회에는 새로운 시민계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교육의 대중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으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학교교육의 의무교육화가 이루어지면서 학교교육은 국가적인 사업으로 발전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수집거부 | 로그인

단체명: 송곡고등학교 총동문회 | 회장: 김학권 | 개인정보 보호관리자:  박주국 | E-mail: my1004pr@naver.com

주소: 서울 중랑구 양원역로 50 (송곡고등학교內)

Copyright(c) 송곡고등학교 총동문회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1004pr